천체물리학 연구분야 분류
안녕하세요~ 오늘은 제가 블로그에 글을 어떻게 분류하는지 소개하겠습니다. 앞으로 제가 올리는 천체물리학 관련 분야 글은 모두 아래와 같은 분류 체계로 될 것을 알려드립니다.
시작 전에 간단한 예시를 보고 가죠.
지난번에 올렸던 [Cosmology] 급팽창 우주론 - Inflation Cosmology는
천체물리학$(\text{Astrophysics})$ - 이론 천체물리학$(\text{Theoretical Astrophysics})$ - [Cosmology]의 분류로 되는 것입니다. 이해가 어려우시면 오늘 소개하는 천체물리학 연구분야를 보신다면 바로 이해가 될 것 입니다!
분류를 하다보면 어떤 분야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도 많습니다. 그럼에도 한 번 분류를 해본다면 12가지 분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1. 관측 천체물리학$(\text{Observational Astrophysics})$
- 우주의 현상을 직접 관측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야로, 다양한 파장 대역의 관측 장비를 이용하여 천체를 모니터링 합니다. 아래에는 다양한 파장에 따른 천문학입니다.
- 광학 천문학: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관측
- 적외선 천문학: 적외선 대역에서의 관측
- 전파 천문학: 전파를 이용한 관측
- X-ray 천문학: 고온의 플라즈마 등에서 방출되는 X-ray 관측
- 감마선 천문학: 감마선 방출 천체$(\text{예: 초신성 잔해, 블랙홀 등...})$ 관측
- 중성미자 천문학: 중성미자 관측
- 중력파 천문학: 중력파의 탐지 및 분석, 대표적으로 LIGO가 있죠.
2. 이론 천체물리학$(\text{Theoretical Astrophysics})$
- 관측 결과를 해석하고 물리 이론으로 모델링하는 분야입니다.
- 우주론$(\text{Cosmology})$: 우주의 기원, 구조, 진화, 암흑물질, 암흑에너지 연구
- 일반상대성이론$(\text{GR})$: 일반상대성이론을 적용한 블랙홀, 중력파, 우주 팽창 연구
- 입자 천체물리학: 우주와 기본 입자의 상호작용, 암흑물질 및 암흑에너지 이론 연구
- 유체역학 및 자기장 연구: 성간 물질, 항성 내부의 유체 및 자기장 동역학
앞서 언급한 Inflation cosmology는 천체물리학 - 이론 천체물리학 - 우주론에 해당하는 것입니다! 이제 이해가 되셨나요? 그러면 다른 분야도 보도록 하죠!
3. 항성 천체물리학$(\text{Stellar Astrophysics})$
- 별의 형성, 구조, 진화, 폭발 등의 과정을 연구
- 항성 진화: 별의 탄생, 주계열성 상태, 적색거성, 초신성 단계 연구
- 항성 구조: 별 내부의 물리 과정$(\text{핵융합, 대류, 복사 등...})$ 분석
- 다중성계 및 쌍성계 연구: 상호 중력 상호작용이 별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
4. 은하 천체물리학$(\text{Galactic Astrophysics})$
- 우리 은하 및 외부 은하의 구조와 동역학을 연구
- 은하 구조: 은하 중심의 블랙홀, 나선팔, 성간 물질 등... 연구
- 은하 형성과 진화: 초기 우주에서 은하가 형성되고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왔는지 연구
- 은하 간 상호작용: 충돌, 병합 등의 과정에 대한 연구
5. 성간 물질과 별 형셩$(\text{Interstellar Medium and Star Formation})$
- 별과 별 사이의 물질 및 별의 탄생과 관련된 연구
- 성간 물질$(\text{ISM})$: 성간 가스와 먼지의 조성과 동역학 연구
- 별 형성: 분자운에서 별이 형성되는 과정과 환경에 대한 연구
- 성단 및 성협: 별의 집단 형성과 진화 연구
6. 외계행성과 행성과학$(\text{Exoplanets and Planetary Science})$
- 태양계 및 태양계 외부의 행성을 연구
- 외계행성 탐색: 외계행성의 발견 및 특성 분석
- 행성 형성 이론: 원시행성계 원반에서의 행성 형성 과정 연구
- 태양계 과학: 행성, 위성, 소행성, 혜성 등 연구
7. 밀집성$(\text{Compact Objects})$
- 극단적 천체의 구조와 동역학 연구
- 블랙홀: 사건의 지평선, 제트 방출, 고에너지 현상 등... 연구
- 중성자별: 고밀도 상태 물질, 펄사, 자기펄사 연구
- 백색왜성: 낮은 질량 별의 마지막 단계에 대해서 연구
8. 고에너지 천체물리학$(\text{High Energy Astrophysics})$
- 에너지가 높은 극단적 환경 현상 연구
- 감마선 폭발: 초신성 폭발이나 쌍성계 병합 과정
- 활동은하핵: 초대질량 블랙홀이 은하 중심에서 방출하는 강력한 에너지에 대한 연구
- 우주선: 고에너지 입자의 기원과 전파
9. 우주론적 구조 형성$(\text{Large-Scale Structure and Evolution})$
- 우주의 거대 구조$(\text{은하단, 초은하단, 필라멘트})$와 진화에 대한 연구
- 은하단 및 초은하단 연구: 중력적 상호작용과 거대 구조 형성에 대한 연구
- 우주 팽창 연구: 허블 상수, 암흑에너지와 우주 팽창 속도 분석
10. 계산 천체물리학$(\text{Computational Astrophysics})$
- 슈퍼컴퓨터와 수치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복잡한 물리 현상을 모델링
- 우주론 시뮬레이션: 초기 우주부터 현재까지 구조 형성 과정 재현
- 천체 유체역학: 초신성 폭발, 성간 물질의 움직임 시뮬레이션
- 입자 시뮬레이션: 암흑물질 입자의 상호작용 및 우주적 거동 모델링
- 기타 천문학적 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시뮬레이션: 블랙홀, 은하 등...
11. 천체 생물학$(\text{Astrobiology})$
- 생명체의 기원과 외계 생명 가능성을 연구
- 생명체 존재 조건: 행성 환경에서의 물, 유기분자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탐구
- 외계 생명체 탐사: 외계 행성 대기에서 생명체 지표 분석
12. 관측 장비 및 기술 개발$(\text{Instrument and Methods})$
- 관측 장비와 기술의 개발
- 광학 시스템 설계: 망원경, CCD, 스펙트로미터 설계
- 우주 탐사기 개발: 우주 망원경, 행성 탐사 로봇 설계
- 데이터 분석 기술: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천문 데이터 처리
☆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 궁금한 점 및 수정 문의는 댓글 부탁드립니다~ 항상 배우는 자세를 가지겠습니다.
태그 수가 부족해서 2개는 여기에 둡니다.
#Astrobiology #InstrumentandMethods